공학생물학은 공학 원리를 생물학적 시스템의 설계 및 구성에 적용하며
농업, 환경, 에너지, 건강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인류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
카이스트 공학생물학 대학원은
공학과 생물학의 경계를 넘나드는
창의적 연구를 선도합니다
조병관 교수님: Bilirubin Nanomedicine Rescues Intestinal Barrier Destruction and Resto…
이상엽 교수님: Targeted and high-throughput gene knockdown in diverse bacteria using s…
이상엽 교수님: Computational prediction of interactions between Paxlovid and prescript…
이상엽 교수님 : Metabolic engineering for sustainability and health
|01미래 먹거리 창출 핵심 '합성생물학... 韓-英, 공동 R&D 기술 확보 나선다
...
|02한-영 첨단바이오 협력 확대…합성생물학 공동연구센터 구축
&...
|03韓-英, 합성생물·뇌·신약 등 첨단바이오 공동연구 추진
...
|04KAIST-생명연-영국 임페리얼대, 합성생물학 글로벌 협력 본격화
...
|05제 2회 공학생물학 심포지움 개최(2023-10-04, 9am)
제 2회 공학생물학 심포지움을 개최합니다.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.
|062023 가을학기 공학생물대학원 정기세미나 일정
2023년 가을학기 공학생물학대학원 정기세미나 일정입니다.
|072023 가을학기 KAIST 공학생물학대학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
2023년도 가을학기 공학생물학대학원 신입생 분들을 환영하는 오리엔테이션이 열렸습니다. 신입생분들, 각 연구실 학생대표분들, 그리고 교수님들께서 참석하시어 서로를 알아가는 즐거운 소통의 시간을 가졌습니다. 공학생물학대학원에서의 새로운...
|08공학생물학대학원 졸업이수요건 및 전공 교과목
공학생물학대학원 졸업이수요건 및 전공 교과목